신림선 경전철 이 드디어 개통하였다. 2022년 5월 28일.
신림선 경전철은 관악산역(서울대입구)~여의도 샛강역 까지 11개 정거장, 사업비 8,318억원(국비 931억원/서울시 3,105억원/민자 4,282억원), 2006년 민간투자사업 제안으로 2008년 민자적격성 통과, 2008년 서울시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 반영, 2015년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 심의위춴휘 통과, 2015년 두산건설 수주 및 기공식, 2022년 5월 28일 드디어 개통.
총7.76km 길이에 기관사가 없는 무인으로 운행한다. 지하철 1,2,7,9호성 환승이 가능하다. 9호선 색상역, 1호선 대방역, 7호선 보라매역, 2호선 신림역 등 4개의 환승역을 지나는 신림선 경전철이다. 관악구의 교통환경개선과 경전철역 인근 역세권의 개발이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부동산개발과 인구유입, 벤처기업의 입주 여건도 개선되어 관악구 경전철 역세권의 개발이 기대된다.
관악산역에서 여의도 샛강역까지 약 16분 정도의 시간에 도달할 수 있다. 신림선 경전철의 개통으로 신림역세권과 신림동고시촌의 상권, 서울대입구역세권의 변신, 변화에도 관심이 커진다.
여의도 샛강역 → 대방역 → 서울지방병무청역 → 보라매역 → 보라매병원역 → 당곡역 → 신림역 → 서원역 → 서울대벤처타운역 → 관악산(서울대)역 chd 11개 정류장으로 샛강역 9호선 환승, 대방역 1호선 환승, 보라매역 7호선 환승, 신림역 2호선 환승 등 4개 노선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첫차 05:30~ 막차 24시까지 운행,
출퇴근시잔 3-5분 간격, 그 외는 4-10 분간격으로 운행된다
첫자 05:30~ 막차 24시 까지 운행되며, 출퇴근 시간에는 3, 5분, 그외는 4,10분 가격으로 운행 된다.
요금은 선/후뷸 교통카드 기준으로 어른 1,250원(추가운임 5Km 마다 100원 추가), 청소년 720원, 어린디 450원, 정기권 55,000원 (1,250* 44회)
신림선은 고무차륜 3칸이 1편성으로 차량운행되며 1편성당 158명을 수송할 수 있으며, 최고 속도는 60km/h라고 한다.
한국형 표준 고무차륜인 경전철(K-AGT)이 적용되었으며,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도시철도영 (KTCS-M)한국형 열차제어시스템이 족용되어 모든 구간이 무인운전으로 운행된다고 한다.
신림선 고무차륜인 경전철의 차량과 시스템은 국토교통과학기술 연구개발에서 개발된 완전 자동 무인운전시스템이 도입되었다고 한다.
신림선의 개통으로 신림역과 서울대입구역을 이용하던 관악산 등산객들이 어떤 방식으로 관악산의 산행을 즐기느냐의 동선파악이 신림선 경전철의 개통으로 변화할 신림선 경전철 역세권의 상권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입구역을 이용하는 등산객들은 여전히 서울대입구역에서 시내버스를 이용하여 관악산, 서울대입구로 이동할 것으로 보이지만 신림역을 이용하는 등산객들은 바로 신림선 경전철로 환승하여 바로 서울대입구 관악산역으로 환승하여 관악산 산행을 즐기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산행 후의 뒤풀이 상권의 변화에도 관심이 커진다. 이는 모텔숙박업의 상권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모텔사랑 이길원
또한 신분당성(용산~ 강남) 1단계 노선(신사~강남)구간 영업개시
2022년 5월 28일 신사~강남 4분대, 2,3,7,9호선 환승, 신분당선 신사역~강남역(2.4km)
영업시간 평일(05:30-익일 01:00) 토,일요일/공휴일 (05:30~24:00), 평일 (출근(07:00-09:00) 퇴근(18:00-20:00)) 5분 간격, 평시(최,퇴근 시간 이외) 8분 간격으로 운행
역세권 주변 주거용 부동산의 교통편의시설의 개통으로 호가 상승이 예상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