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경향으로 버티지 못한 숙박업소의 선택도 있겠으나, 최근 회자되는 숙박업 폐업은 소형주택 주거인국가 많은 지역에서 두드러진ㄷ나. 그런데 잘 살펴보면 처어년주택이나 생활형 숙박시설 등 용도전환으로 진행된다. 즉 부동산 가치로 관점이 이동한 것이다. 이와같은 상황에서 대전시 일부지역이 숙박업 운영의 새로운 메카로 떠오르고 있다. 호황의 촉발점이 될 기미가 보이고 있다.
서울 및 수도권엣 소재하는 많은 숙박업소들이 영업을 포기했다. 아니 포기라기보다는 부동산상품으로 대박이 났다. 용도 전환가치가 숙박업 지속의 가치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에 소형주택건축 개발업자에게 팔렸거나 직접 소형주택개발에 나서서 숙박업을 포기한 것이다. 어쩔 수 없어서가 아니라 최선의 선택이었다.
대전 선화동 모텔들
1. 숙박업 포기는 특급호텔부터 모텔까지
숙박어버의 포기는 지난 2년여 사회적 거리두기, 글로벌 ㅗ로나19 감염병 사태의 팬데믹이 큰 영향을 주었다. 숙박업 70년 역사에서 모텔숙박업이 대실 영업을 포기하게 된 경우가 그리 많지 않다. 이번 코로나19는 숙박업의 변신을 강격하게 요구하고 있다. 확실 달라져야 한다. 하지만 그 부담으로 많은 숙박업주들이 매출과는 상관없이 땅값으로 승부수를 던지고 있다
숙박업의 포기였다
부동산가격 급등과 양도소득세의 부담, 최저임금법의 시행으로 인한 인력난, 경기침체, 숙박업 미래가치의 불확실성이 한몫했다. 특급호텔부터 상업지역 내 군집 모텔들까지 서울특별시 관내 송파구 방이동 및 서초구 남부터미널 인근, 영등포구 영등포동, 은평구 연신내 모텔촌, 관악구 봉천동, 신림동까지 소형주택 주거수요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서건 숙박업의 포기 사례가 발생했다.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도 마찬가지다. 경기도 수원시 인계동/권선동에서도, 대전광역시ㅣ의 선화동을 비롯한 용전동, 경기도 부천시 부천역 인근이 그렇다.
그런데 이렇게 숙박업을 포기했던 지역에서 한가지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바로 소형주택수요가 증가한 지역이면서 역세권, 젊은 층의 주거수요가 많은 곳이라는 사실이다.
소형주택 수요가 있는 상업지역에 소재하는 모텔들은 아직도 부동산가치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숙박업을 포기할 기회의 여지가 아직은 남아있다. 그러나 막상 매매거래까지는 쉽지 않은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숙박업 부동산의 매매거래 가격이 너무 올랐기 때문이다 양도소득세을 내고 나면 새로운 물건으 ㄹ매수할 수 있는 여건이 안될 수도 있다.
내 모텔을 파는 것도 고민이다.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도소재의 B모텔은 리모델링 시설고급화와 양도소득세의 부담을 떨쳐버리고 과감하게 숙박업을 포기하는 쪽으로 선택하였다. 올해 초에 건축업자와 매매계약을 작성할 때만 해도 아주 잘한 선택이었다고 후련해 했다. 그러나 잔금일이 다가오면서 근심이 커져 갔다. 매수자인 건축업자가 잔금을 지불하기위한 PF(은행 대출)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잔금 지급일은 이미 3차례나 미루어졌다. 이제 법정분쟁이 발생할 수도 있는 처지가 되었다. 금액이 크니 단디 마음을 먹고 법률적인 조언을 구하고 있다고 일언한다. 숙박업을 포기하는 매매거리도 쉽지않은 상황이 된 상황까지 발생하고 있는 사례다.
폐업 숙박업소 현황 (2021년 12월 기준)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